갑작스러운 허리통증 디스크? 협착증??
허리통증(요통)은 남녀노소 누구나 겪을 수 있는 흔한 질환이다. 80%의 사람들이 일생에 한 번 이상 요통을 경험하고 있다. 50%의 직장인들이 매년 요통을 경험하고 있다고 알려져있다. 허리 통증은 대부분 비교적 경미하거나 적절한 치료로 양호한 경과를 보이지만 증상이 악화되거나 그렇지 않을 경우 합병증과 장애를 유발할 수 있어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. 허리(요추)에 발생할 수 있는 질병은 무엇인지, 구별법을 알아보자.
목차
허리통증원인 요추란 무엇인가!
요추는 흉추(등뼈)와 천골(엉치) 사이에 위치하면서 요추 부위를 형성하는 뼈 구조이다. 등 아래쪽 척추라고 불리며 5개의 척추뼈로 이루어져 있다. 5개의 요골 사이에 디스크라는 연골이 있고, 그 뒤에는 뇌에서 척수(신경다발)가 내려간다. 5개의 요추신경이 양쪽으로 뻗어 있고 갈비뼈를 따라 발가락까지 내려간다.
요추에는 어떤 종류의 질병이 발생하나요?
크게 세가지로 나눌수 있다. 요추에서 가장 흔한 질병은 허리디스크, 요추 협착, 외상 및 사고로 인한 골절이다.
허리디스크
우선 허리디스크는 뼈 사이의 추간판(연골)의 퇴행성 또는 외상으로 인해 점차 얇아져 그 뒤로 신경을 밀어내고 허리통증과 하지 마비 등의 증상을 보이는 질환이다. 허리디스크 증상이 점차 심해지면서 다양한 증상이 나타난다. 초기에는 단순한 통증이 나타날 수 있고, 중기에는 하반신이 저거나, 당기는 증상이 나타나며, 결국 말기에는 신경이 분포된 다리 부위에서 신경이 빠르게 눌리고 감각이 없어진다. 심한 경우 근육 약화가 일어나 각 신경의 근육이 마비되기도 한다.
협착증
척추협착증은 뼈 내부의 인대가 두꺼워지거나 뼈가 조금씩 자라면서 내부 신경구조가 압박되어 생기는 질환이다. 협착증은 척수 주위의 신경을 안쪽으로 밀어내는 중심 협착증과 요추 신경이 바깥쪽으로 밀려나는 측면 협착증 두 가지로 나뉜다. 어떤 부위를 누르느냐에 따라 다양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.
허리 골절
골다공증은 폐경기 여성이나 노년층에서 진행되는 경우가 많지만 골다공증은 뼈 내부의 칼슘과 철 성분이 모두 제거되지만 내부는 텅 비기 때문에 표면적으로는 정상으로 보인다. 이런 경우 뼈가 약해 추운 날 기침으로 복압을 높이는 작은 압력으로도 골절이 생길 수 있다. 앞 척추에 단순 압착골절만 있으면 허리신경이 밀리지 않아 요통만 일으킬 수 있지만 교통사고나 낙상으로 인해 등뼈가 부러져 신경이 밀리면 하반신이 마비될 수 있다.
디스크와 협착증 구분법?
추간판이탈·협착증은 신경압박에 의해 발생하는 질환으로 하반신의 통증과 다리 저림이 흔할 수 있어 일반인이 쉽게 구분하기 어렵다. 그러나 이 둘은 신경유전적 간헐적 클라우디케이션(Neurogenic Intermittle Claudiation)이라는 증상으로 구분할 수 있다. 협착증의 경우 신경관의 공간이 좁아져 걸을 때 신경이 압박되고 다리에 힘이 빠져 오래 걸을 수 없게 된다. 따라서 휴식을 취하기 위해 잠시 앉거나 앉으면 하체 마비, 다리 허약 등의 증상이 호전돼 다시 걸을 수 있게 된다. 이러한 신경학적 간헐적 폐색 증상은 디스크와 협착증을 구별할 수 있다. 걷다가 다리에 증상이 생겨 휴식을 취하면 호전되는 신경성 간헐적 폐색 증상이 있다면 디스크라기보다는 협착증에 가깝다는 얘기다.
'건강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코로나19 재감염되면 사망 위험 두배 증가한다 (0) | 2022.11.12 |
---|---|
50대 아버지 영양제 선물 50대 아르기닌, 비타민 D 추천 (0) | 2022.11.10 |
초기단계 목 디스크 자가진단 (50대 여성 더 많이 발생하는 이유는) (1) | 2022.11.07 |
50대 필수 영양제 알아보기 (0) | 2022.11.02 |
어린이 스케일링 필요한가? 비용과 주의점 (0) | 2022.11.01 |